Translation10 번역의 미래(1) 3 sectors that require human translators from https://www.foreigntongues.co.uk/3-sectors-that-require-human-translators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dvancements contributing to a more accurate machine translation, many people and businesses alike ask if human translation is still required. Although machine translation has improved over recent years, it still doesn’t match the quality of profess.. 2021. 9. 8. 번역의 기초 (13) - 번역과 저작권(2) 번역물은 원저작물을 다른 언어로 바꾸는 과정이므로, 원저작물 사용에 대한 허락을 반드시 얻어야 한다. 그러나 모든 창작물에도 저작권리가 인정되는 기간은 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글로 쓰여진 저작물은 저자가 실명으로 작품을 쓰고 출간한 경우라면 사후 70년까지 인정된다. 그렇다면, 70년 이후는 저작권료를 지불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다. 저작권이 만료된 저작물Q.[저작물의 보호기간] 저작권에 저촉 받지 않고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보호기간이 만료된 저작물을 알고 싶다. 보호기간은 어느 정도까지 인정되는가?A.저작물은 일정한 기간 동안만 보호를 받으며 이 기간이 지난 저작물은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창작자인 저작물은 저작자의 생존 기간 동안 및 그의 사망 후 .. 2021. 2. 24. 번역의 기초 (12) - 번역과 저작권 번역한 원고는 저작권이 있는걸까? 아닐까? 번역 결과물도 저작물로 인정되는 걸까? 번역도 창작인가? 모든 저작물에는 저작자가 가져야 하는 마땅한 권리가 있다. 번역은 원저작물 판권자의 허락과 계약을 거쳐 수행되는 또 하나의 창작과정이다. 따라서 번역 결과물도 새로운 저작권이 부여되는 '2차 저작물'로 분류된다. 하지만 현실은 생각만큼 바람직하지는 않다. 아래 내용은 문화체육관광부 웹페이지에 명시된 콘텐츠 저작권 미디어에 대한 내용이다. 저작권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데 충분한 내용을 담고 있다. 번역 저작물을 만들고 출판 관련된 일을 한다면 당연히 잘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RoiTree 번역 팀 작성 - RoiTree Translation Team] 상업적인 용도가 아니라면 퍼가도 됩니.. 2021. 2. 17. 번역의 기초 (7) - 한글 맞춤법 번역은 source language에서 target language로 옮기는 작업이다. 여기서 source language는 예를 들어 텍스트의 원본언어를 의미하고, target language는 번역의 결과언어이다. 우리나라에서 하는 번역의 대부분은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source language를 한국어(target language)로 하게 된다. 번역을 하려면 원문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 그래서 예를 들어 영어를 잘해야 한다. 누구나 이렇게 생각하고 백번 맞는 말이다.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것이 우리 한국어에 대한 생각이다. 한국에서 태어나 한국말을 고민없이 사용하고 있으니 뭘 더 잘해야 한다는 말이냐하고 물을 수 있지만, 바로 한국어의 쓰임, 문법, 어휘 사용, 띄어쓰기 이런 모.. 2021. 2. 9.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