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로이트리34

LLS (51) - Doughnut vs. Donut 여기는 어디? 우리나라 대한민국~ 기름 지글지글 거리는 '도나~쓰' 가게인데 영어로 이름 짓고, Korean Traditional Doughnut Shop이라고 쓰니 맛도 다를까 궁금하네 그런데 doughnut 이 맞나? donut 아닌가? 둘 다 맞다. 특히 미국에서는 donut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미국이외의 나라에서는 doughnut이 더 널리 사용되니까 doughnut이 자연스러운 선택이라 생각된다. 우리말로 뭐라고 적을까? 도너츠, 도너스, 도나쓰, 도나스 땡!!! 정답은 '도넛' ☞ 절대 퍼 가시면 안됩니다 본 사진의 저작권은 ⓒ RoiTree에 있습니다. 2021. 2. 1.
번역의 기초 (6) - '문자 '가 아니라 '의미'를 새겨라 번역 방법은 문자 그대로를 번역하는 literal translation(직역)과 문맥에 맞게 번역하는 liberal translation(의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둘 중 무엇이 더 좋다, 나쁘다라는 주장은 호불호가 갈리는 일이라 더 이상 논할 필요는 없다. 아래 대화는 친구끼리 나누는 대화라고 생각하고 B의 말을 우리말로 옮겨보자. A: Thank you. B: You're welcome. You're welcome 을 가장 적절하게 우리말로 옮긴 것은? 1) 천만에.2) 어, 그래.3) 얘는 왜 이러니? 4) 뭐 이런 걸 다주고 그래 위의 네 가지 모두 문맥에서 적절하게 사용하면 올바른 번역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1)번 천만에의 경우 분명히 You're welcome이 천만에라고 사전에도 적.. 2021. 2. 1.
번역의 기초 (5) - '나'는 그리고 '너'는 다 죽었다 A: 밥 먹었니? B: 아직... 그런데 왜 늦게 온데? A: 그걸 몰라서 물어? 일이 너무 많아서 그래요. 위 대화 내용을 보면 모든 문장에 주어가 없다. 우리말은 주어가 없어도 문맥 속에서 의미를 파악하는데 큰 지장이 없다. 이제 이 문장을 번역한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영어는 우리말과 달리, 주어가 없으면 문장을 구성하기 너무 어렵다. 한 마디로 우리 한국어는 '나', '너', '그' 그리고 '그녀'라는 말을 꼭 표현할 필요가 없지만, 영어는 주어를 살려내야 한다. 그래서 영어에서 우리말로 번역한 소설 등의 작품에 '당신'이라는 말이 너무 많이 나온다. 우리말에서 '당신'은 부부관계이거나 아니면 '당신, 나 알아?' '당신이라니, 너 몇 살이야?'라고 할 때나 등장한다. 다음 문장을 번역해보자. 1... 2021. 2. 1.
Reco-Books (51) - Nuclear Power is Not the Answer 반핵론자, 국제적 반핵단체의 대변인으로 유명한 Helen Caldicott가 쓰고 2007년에 출판된 Nuclear Power is Not the Answer 우리나라에서 '원자력은 아니다'라는 제목으로 번역판이 같은해에 출판되었다. 출간된지 조금 되었지만 핵발전소 이면에 숨겨진 핵발전으로 인해 우리 인간이 치루게 될 비용과 환경적 피해가 얼마나 되는지 자세하게 공부할 수 있다. 요즘 핵발전소에 대한 얘기로 시끄럽다. 핵발전소의 찬성과 반대를 깊이있게 논하기 보다, 정치적인 진흙탕 논리로 핵발전소 문제를 다루다니 참으로 어이가 없을따름이다. 그런 논쟁을 벌이기 전에 Helen Caldicott가 쓴 책을 먼저 읽고 충분히 자성하고 고민하기 바란다. 핵은 우리의 미래도 아니고, 친환경적인 에너지 대안도 아.. 2021. 2. 1.